스토리지 생성하기

liqpod의 스토리지는 컨테이너의 일시정지, 종료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저장소입니다. 학습 데이터, 모델 결과, 캐시 파일 등을 저장하고 반복 작업이나 협업 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생성항목 설명

1. 이름

스토리지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이름입니다. 동일한 계정 내에서 중복된 이름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예: my-dataset, llama2-checkpoint, team-shared-storage

2. 지역

스토리지를 생성할 데이터센터의 리전을 선택합니다. liqpod는 다수의 리전을 운영하며, 스토리지는 생성된 리전 내 노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노드의 데이터센터를 반드시 확인 바랍니다.

  • 예:

    • 리전 A에서 생성한 스토리지는 리전 A의 노드에서만 컨테이너에 연동 가능

    • 다른 리전의 노드에서는 접근 불가

3. 크기

스토리지의 크기를 50GB 단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최소 용량: 50GB

  • 최대 용량: 2TB

  • 최대 설정 가능 용량은 선택한 리전의 현재 가용 용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 예:

    • 100GB → 100 크레딧/시간

    • 500GB → 500 크레딧/시간

스토리지 용량은 생성 후 변경할 수 없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해주세요.

4. 마운트 이름

해당 스토리지를 컨테이너에 마운트할 때 사용할 디렉터리 이름입니다. 마운트 이름을 통해 컨테이너 내부에서 스토리지 경로가 결정됩니다.

  • 예: storage001으로 설정 시 컨테이너 내부 경로는 다음과 같이 마운트됩니다. → /data/volumes/storage001

  • 내부 코드나 스크립트에서 해당 경로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 영문, 숫자, 언더바(_)만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20자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