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대여하기
1. 노드 선택하기

노드 리스트 확인
liqpod의 노드 리스트에서는 다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U 종류 (예: RTX 6000, A100, L40 등)
VRAM 용량
기본 사양 (TFLOPS, RAM, DISK 등)
가격 (시간, 일, 30일 기준)
현재 사용 가능 여부
노드 선택 기준
사용하려는 딥러닝 프레임워크, 모델 크기, 연산량에 따라 적절한 GPU 성능 및 VRAM을 선택합니다.
연동할 스토리지가 있는 경우, 반드시 스토리지의 지역(리전)과 노드의 IDC 코드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리전이 다르면 스토리지를 연결할 수 없습니다.
📌 노드를 선택하면 해당 노드에 컨테이너가 배치되며, 선택 후 [대여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2. 컨테이너 설정 항목 작성

1. 컨테이너 이름
컨테이너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입니다. 계정 내에서 중복이 불가능합니다.
2. 컨테이너 설명 (선택)
컨테이너의 용도나 실행 내용 등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는 설명란입니다.
3. 템플릿
컨테이너 실행에 사용할 사전 구성된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템플릿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선택 시 자동으로 하단 항목에 반영됩니다.
Docker 이미지
시작 커맨드
환경 변수
포트 설정
📌 템플릿 선택 후에는 각 항목을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4. 스토리지 (선택)
생성된 스토리지를 컨테이너에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최대 3개의 스토리지를 하나의 컨테이너에 연결할 수 있으며,
선택한 노드와 동일한 지역(리전)의 스토리지만 표시되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스토리지는
/data/volumes/{마운트이름}
경로로 자동 마운트됩니다.
5. 시작 커맨드 (선택)
컨테이너 실행 시 자동으로 실행할 커맨드를 입력하는 항목입니다. 학습 스크립트, 서버 실행 등 원하는 명령어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예:
python train.py
uvicorn main:app --host 0.0.0.0 --port 7860
※ 해당 명령어는 컨테이너의 Entrypoint 또는 CMD를 덮어씁니다. 사전에 이미지에 설정된 Entrypoint 또는 CMD가 무시될 수 있습니다.
6. 환경변수 (선택)
최대 10개의 Key-Value 쌍을 등록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실행 시 환경에 주입됩니다.
예:
MODEL_NAME = llama-2-13b
HF_TOKEN = [your_token_here]
※ 민감한 정보는 가능한 템플릿에 직접 입력하기보다는 컨테이너 실행 시 수정하여 입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템플릿에는 placeholder로 작성해주세요.
7. 포트 설정 (선택)
컨테이너 내부에서 사용하는 포트를 지정합니다. 입력한 내부 포트는 외부 접근이 가능하도록 자동 바인딩되며, 외부 포트는 시스템에서 자동 배정됩니다.
예:
입력:
7860
→ 결과:https://t001.liqpod.cloud:49123
(외부 접속용 URL 자동 생성)
여러 포트 입력 가능 (최대 5개)
SSH 혹은 WEB 포트로 타입을 지정하시면 컨테이너 생성 시 엔드포인트(접속정보)란에 표시됩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