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yUI로 AI 이미지 생성하기

본 문서에서는 liqpod에서 ComfyUI 템플릿을 사용하여 Image Generative AI를 사용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ComfyUI란 무엇인가요?

ComfyUI는 Stable Diffusion 기반의 이미지 생성 모델을 노드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해 누구나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오픈소스 툴입니다.

기존의 명령어 기반 또는 복잡한 파라미터 조정 방식과 달리, ComfyUI는 블록처럼 노드를 배치하고 연결함으로써 모델 로딩 → 프롬프트 입력 → 샘플링 → 이미지 출력의 전 과정을 시각적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ComfyUI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노코드 기반의 시각적 워크플로우 구성

    → 코드 없이도 복잡한 모델 구조나 제어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모듈화된 노드 시스템

    → 모델 종류, 샘플러, 업스케일러, 컨디셔널 노드 등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습니다.

  • 고급 사용자도 만족할 확장성

    → 사용자 정의 노드 추가, 커스텀 모델 로딩, 고급 설정 등이 가능하여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납니다.

  • Stable Diffusion 기반 다양한 모델 호환

    → SD 1.5, SDXL, LoRA, ControlNet 등 다양한 모델을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실습에서는 ComfyUI를 설치하고, 실제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여 텍스트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AI 이미지 생성의 전 과정을 체험합니다.


1단계: 스토리지 생성하기

목적

  • ComfyUI는 생성된 이미지와 모델 파일을 저장할 디렉터리가 필요합니다.

  • 컨테이너는 종료되면 내부 데이터가 사라지므로, 데이터 보존을 위해 외부 스토리지(PVC)를 연동해야 합니다.

실행 방법

스토리지 생성하기
  1. 스토리지 생성 페이지로 이동

  2. 이름: comfy-storage (예시)

  3. 리전: 컨테이너에서 사용할 노드와 동일한 리전 선택

  4. 크기: 50GB 이상 권장 (모델 + 출력 이미지 저장 용도)

  5. 마운트 이름: comfy → /data/volumes/comfy 경로로 마운트됨

  6. 생성 완료


2단계: ComfyUI 컨테이너 생성

목적

  • ComfyUI가 설치된 Docker 이미지를 기반으로 GPU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실행 방법

컨테이너 대여하기
  1. 컨테이너 호스팅 → 노드 선택

    • VRAM과 성능에 따라 알맞은 GPU 노드를 선택합니다.

  2. 이미지: ComfyUI (cu124) 선택

    • CUDA 12.4 기반으로, 최신 모델 호환이 우수합니다.

    • ssh를 통한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liqpod에서 커스터마이징한 이미지입니다.

  3. 스토리지 선택: 1단계에서 생성한 comfy-storage 선택

  4. 환경변수 설정:

    • ROOT_PASSWORD를 설정하면 ssh 혹은 sftp 접속 시 비밀번호로 사용됩니다.

    • 예: ROOT_PASSWORD: secure1234!

  5. 컨테이너 이름, 설명 입력 후 컨테이너 생성하기


3단계: 컨테이너 상태 확인

목적

  • 컨테이너가 GPU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스토리지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실행 방법

  1. [나의 머신 → 컨테이너] 메뉴에서 방금 만든 컨테이너 확인

  2. 상태가 “사용 중”인지 확인

  3. 마운트 스토리지, 웹 주소 등 확인

  4. 웹 터미널 접속 → 명령어 입력

  • nvidia-smi 명령어로 GPU 드라이버 및 VRAM 인식 여부 확인

  • ls /data/volumes 명령어로 마운트된 스토리지 경로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


4단계: ComfyUI 웹 접속

목적

  • ComfyUI 웹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노드 기반의 워크플로우를 구성합니다.

실행 방법

  1. 컨테이너 정보 → 엔드포인트 → 웹 주소 확인 후 해당 주소로 접속합니다.

  1. ComfyUI 인터페이스가 로드되면 ‘이미지 생성’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1. 처음 실행 시 모델이 없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 이 상태에서는 샘플 실행이 불가능하므로, 모델을 다운로드 후 다음 단계에서 모델을 업로드합니다.


5단계: 모델 파일 업로드하기

목적

  • Stable Diffusion 기반의 checkpoint 모델이 없으면 이미지 생성을 할 수 없습니다.

  • 이를 위해 스토리지에 모델 파일을 업로드하고, ComfyUI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로를 연결합니다.

실행 방법

A. 디렉터리 생성

  1. 웹 터미널로 접속합니다

  2.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스토리지 마운트 경로가 다르다면 해당 경로에 맞춰 입력해주세요)

# 스토리지에 모델 및 이미지 아웃풋 경로 생성
mkdir -p /data/volumes/comfy/models/checkpoints
mkdir -p /data/volumes/comfy/output

# 심볼릭 링크를 통해 스토리지 경로를 ComfyUI로 연결
ln -s /data/volumes/comfy/models /app/models
ln -s /data/volumes/comfy/output /app/output

B. 모델 업로드

  • SFTP를 사용해 다운로드 받은 checkpoint 모델(.safetensors, .ckpt 등)을 업로드합니다.

  • SFTP 접속 정보는 컨테이너의 엔드포인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root

    • 포트: 예시 32017 (컨테이너 실행 시 동적으로 할당되므로, 실제 값을 참조하세요)

    • 패스워드는 환경변수에서 입력한 ROOT_PASSWORD 키를 사용합니다. (예시: secure1234!)

  • S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해 다음과 같이 /data/volumes/comfy/models/checkpoints 경로에 업로드합니다.


6단계: 모델 로드 및 이미지 생성

목적

  • 업로드한 모델을 로딩하고, 프롬프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을 실행합니다.

실행 방법

  1. ComfyUI 웹에 다시 접속하거나 새로고침하세요.

  1. 왼쪽 메뉴 → 모델 라이브러리 → checkpoints 진입

    • 업로드한 모델이 나타나야 정상입니다.

  1. 프롬프트 입력

  • CLIP 텍스트 인코딩 노드에 생성하고 싶은 문장을 입력

  • 예: a high-quality portrait of a cyborg woman, 8k, cinematic lighting

  1. [실행] 버튼 클릭

  2. 이미지 생성 노드에서 생성된 이미지 확인


7단계: 이미지 다운로드

목적

  • 생성된 이미지를 SFTP로 다운로드하여 로컬에서 저장하거나 활용합니다.

실행 방법

  1. SFTP로 /data/volumes/comfy/output 경로 접속

  2. 생성된 이미지 파일 (.png) 다운로드

생성된 이미지 파일 (예시)

Last updated